독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
엄마의 독서 욕심이 아이에겐 독이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요즘 엄마들은 아이들 독서 교육에 관심이 많다. 책을 좋아하는
아이로 자라나게끔 무엇이든 해주고 싶어 한다. 그래서 이웃집 엄
마들이 좋다는 창작 동화 전집과 유명 도서상을 휩쓴 수상작을 집
에 들인다. '소문난 책을 집에 들여 놓으면 아이들이 독서를 즐기
겠지...' 기대한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책은 애물단지가
된다. 아이들은 이전과 달라진 게 없다.
지나친 독서 욕심은 부족함보다 못하다.
옛말에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고 했다. '독서를 열심히 하는 것이 좋다더라. 무조건 책을 많이
읽고 독후 활동을 하는 것이 우등생의 비결이라더라.'는 말만 듣고 자녀에게 독서를 강요하는 엄마
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엄마들의 책 욕심, 다독 욕심은 아이들이 책을 멀리하는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아이의 의견을 무시한 독서 활동은 책에 대한 거부감과 스트레스를 가져온다.
자녀가 독서를 하고 있으면 잘한다고 칭찬하고, 그렇지 않으면 실망한 눈빛을 보이는 엄마들이
적지 않다. 이런 엄마의 모습을 보는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게 되고, 엄마로부
터 받는 스트레스는 책 거부증, 독서 혐오증, 학습 혐오증 등으로 나타나고 심하면 틱 장애를 보일
수도 있다. 대부분의 엄마는 독서를 공부의 일부로 생각해 교과목과 연관된 도서나 선행학습을 할
수 있는 책을 선호하고 이를 자녀에게 읽도록 강요한다. 이런 엄마의 태도는 '독서=공부'라는 인식
을 아이에게 심어줘 책 읽기를 멀리하게 된다고 한다. 즉, 아이가 책 읽기를 싫어하게 되는 이유가
되는 것이다.
독서 부담감을 낮추고 흥미를 높여라!
첫째 아이들이 어떤 분야의 책을 좋아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둘째 아이가 고른 책을 한 번 보고 엄마가 고른 책도 한 번 보는 것으로 약속하면서 아이의 의
견을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 스스로 '엄마가 내 의견을 존중해준다'고 느끼게 된다면 엄마
의 요구에 거부감을 덜 갖게 된다.
독서 전문가들은 "자녀가 독서에 흥미를 갖기 위해서는 엄마가 솔선수범해 책 읽는 모습을 보여
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하지만 부담을 가질 필요는 없다. 아이들은 엄마가 하는 일을 모방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비록 가계부를 쓰거나 잡지를 볼지라도 아이의 눈높이에서는 '아, 우리 엄마는 책을
읽는 구나' '공부하는 구나'라고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엄마부터 독서에 대한 부담감을 낮출 필
요가 있다.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 재미있게 일기쓰기 (0) | 2011.12.23 |
---|---|
아이를 크게 키우고 싶다면 잠자리부터 바꿔 보세요. (0) | 2011.12.22 |
방학 동안 엄마와 할 수 있는 두뇌트레이닝 (0) | 2011.12.20 |
일기쓰기 이렇게 관리해 주세요. (0) | 2011.12.19 |
나쁜 읽기 습관이 오답을 만든다. (0) | 201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