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5 - 1 과학 단원별 용어정리입니다.
□ 1단원 지구와 달
* 그믐달 : 새벽에 동쪽 하늘에서 뜨는 것을 볼 수 있음.
* 남반구 북반구 : 적도를 중심으로 지구를 반으로 나누었을 때
남쪽을 남반구, 북쪽을 북반구라도 함. 우리나라는 지구의 북
반구에 위치하고 있음.
* 달 : 지구 주위를 도는 위성으로, 공기가 없으며 지표면에 여러
개의 운석 구덩이가 있음.
* 대기 : 천체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기체로, 공기를 달리 이르는 말임.
* 마젤란 : 포르투갈 태생의 항해가로, 1519년 한쪽 방향으로만 항해를 시작하여 다시 출발한 자
리로 돌아옴. 이 세계 일주로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증명함.* 보름달 : 오후 6시에 동쪽에서 떠서 새벽에 서쪽으로 지므로 새벽에 서쪽에서 관찰할 수 있음.
* 삼구의 : 지구, 태양, 달 등 3개의 천체로 만들어진 과학 기구로, 달의 모양을 관찰할 때 쓰임.
* 상현달 : 초저녁에 남쪽에서 떠서 자정에 서쪽으로 지므로 새벽에 관찰되지 않음.
* 방위 : 동서남북처럼 방향을 나타내는 말
* 양력 : 태양을 기준으로 만든 달력
* 온실효과 : 대기 중의 수증기, 이산화탄소 등이 지구에서 우주 공간으로 나가는 에너지를 흡수
하여 지구의 온도를 비교적 높게 유지하는 작용.
* 운석 : 우주공간으로부터 지표에 떨어진 암석
* 음력 : 양력의 반대말로, 달이 뜨고 지는 시각과 모양이 약 30일 주기로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만든 달력.
* 자전 : 천체가 스스로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도는 것.
* 증거 :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근거.
* 지구 : 인류가 살고 있는 천체로, 태양에서 3번째로 가까운 행성이며 표면이 대기로 둘러싸여
있음.
* 지구본 : 지구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모형
* 천체 : 우주에 존재하는 물체를 말함.
* 초승달 : 초저녁에 서쪽에서 떠서 바로 지므로 새벽에는 관찰되지 않음.
* 하현달 : 자정 무렵 동쪽에서 떠서 새벽에 남쪽에서 관찰할 수 있음.
* 행성 : 태양 주위를 도는 천체를 말하며,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태양 빛을 반사하여 빛이 남.
□ 2단원 전기 회로
* 가전제품 :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 제품
* 감전 : 전기가 흐르고 있는 물체에 손이나 신체 부위가 닿아서 순간적으로 충격을 받는 것을 말
함. 감전에 의해 사람이 죽거나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함.
* 교류 :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어 흐르는 전류
* 기호 : 어떠한 뜻이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한 문자나 부호, 표지 따위를 말함.
* 누전 : 전기가 전깃줄 밖으로 새어 흐름.
* 반도체 : 평상시는 전기가 잘 통하지 않다가 특정 환경이 되면 전기가 통하는 물체. 실리콘, 게
르마늄 등이 있음.
* 병렬연결 : 전기 회로에서 전지나 발전기, 축전기 등을 같은 극끼리 묶어서 나란히 연결하는 것.
* 전구 : 전류를 통하여 빛을 내는 기구
* 전류 : 전기를 띤 입자가 흐르는 것을 말함. 전류가 흐르면 전기 제품들이 작동을 함.
* 전선 :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만든 금속 줄로, 일반적으로 구리선에 고무줄을 감싸 만듦.
* 전지 :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쓸 수 있게 만든 것
* 직렬연결 : 전기 회로에서 전지나 발전기, 축전기 등을 서로 다른 극끼리 한 길로 연결하는 것.
* 직류 : 시간이 지나도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변하지 않는 전류
* 회로 : 전류나 물 등이 흐르는 길을 말함.
□ 3단원 식물의 구조와 기능
* 꽃의 구조
- 꽃잎 : 꽃의 내부 기관을 둘러싸서 안에 있는 암술과 수술을 보호
- 암술 : 꽃의 가장 안쪽 중앙에 위치함. 암술머리, 암술대, 씨방의 세 부분으로 구성.
- 수술 : 꽃잎의 바로 안쪽에 둥글게 배열되어 있음. 가늘고 긴 수술대와 꽃밥으로 이루어져 있음.
- 꽃받침 : 꽃의 아랫부분에 있는 푸른색 잎 모양. 꽃이 자랄 때 꽃을 덮어서 보호하고, 꽃이 필
때 꽃을 받쳐 줌.
* 구조 : 어떤 물건이나 조직 전체를 이루고 있는 짜임새
* 단면 : 물체의 잘라낸 면
* 쌍떡잎식물 : 싹이 틀 때 떡잎이 2장 나오는 식물로, 잎맥이 그물 모양이고, 원뿌리와 곁뿌리의
구분이 뚜렷함.
* 성숙 : 생물의 발육이 완전히 이루어짐.
* 수분 : 꽃가루받이. 꽃밥에서 만들어진 꽃가루가 암술머리로 옮겨지는 일이며, 꽃가루받이는
곤충이나 바람, 새, 물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이루어짐.
- 충매화 : 곤충을 통해
- 풍매화 : 바람을 통해
- 조매화 : 새를 통해
- 수매화 : 물을 통해
* 수정 : 수분이 된 후 꽃가루가 씨방 속의 밑씨와 합쳐지는 것
* 습도 : 공기의 습한 정도로, 공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양
* 씨방 : 식물에서 암술의 아랫부분에 있는 주머니 모양의 볼록한 부분으로, 속에 밑씨가 들어 있음.
* 아이오딘-아이오딘화칼륨 용액 : 아이오딘화칼륨 수용액에 아이오딘을 녹여 만든 갈색 용액으로,
녹말과 섞으면 반응을 일으켜 청남색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녹말 검출 반응에 이용됨.
* 열매의 종류
- 참열매 : 씨방 부분이 자라서 된 열매. 감, 복숭아, 귤, 토마토 등
- 헛열매 : 씨방 이외의 부분이 자라서 된 열매. 사과, 배, 딸기 등
* 엽록체 : 잎의 세포 속에 들어 있는 색소체로, 엽록소가 들어 있어 녹색을 띠며, 광합성을 하여
녹말을 만드는 부분임.
* 외떡잎식물 : 싹이 틀 때 떡임이 1장만 나오는 식물로, 잎맥이 나란한 모양이고, 수염뿌리를 가짐.
* 유인 : 주의나 흥미를 일으켜 꾀어냄.
* 중탕 : 물질을 넣은 그릇을 끓는 물에 넣거나 띄워서 간접적으로 데우는 방법
* 증발 : 액체가 그 표면에서 기체로 변하여 공기 중으로 날아가는 현상
* 지지 : 붙들어서 버티게 함.
* 표피 : 동물이나 식물체의 표면을 덮는 세포층으로, 겉껍질을 말함.
* 프레파라트 : 현미경의 표본이라고 하는 것으로, 생물체의 일부 조직이나 세포 등의 구조를 현
미경으로 관찰하기 위해 준비하는 것임.
* 피목 : 껍질눈이라고도 하며, 식물 줄기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공기의 통로가 됨.
* 흡수 : 빨아서 거두어들임.
□ 4단원 작은 생물의 세계
* 감염 : 병원체인 미생물이 동물이나 식물의 몸 안에 들어가 증식하는 일
* 광학 현미경 :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생물의 조직이나 미세한 세균 따위를 확대하여 관찰하는
장치
* 군집 : 여러 생물이 한 지역에 살면서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생활하는 모임.
* 누룩 : 밀이나 찐 콩을 굵게 갈아 반죽하여 띄운 것으로 술을 빚는데 쓰임.
* 사육 : 가축이나 짐승을 먹여 기름.
* 디지털 : 여러 가지 자료를 일정한 자릿수의 숫자, 또는 문자로 나타내는 방식
* 물벼룩 : 타원형이며 몸이 투명한 껍질에 싸여 있음. 주로 연못과 같이 고여 있는 물에서 떼를
지어 살고 머리 앞쪽의 더듬이를 움직여 헤엄을 침.
* 미생물 : 매우 작아서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생물
* 발효 : 미생물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생물을 분해시키는 과정. 분해 후 우리
생활에 유용한 물질을 만든다는 점이 부패와 다름.
* 보호색 :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다른 동물의 눈에 띄지 않도록 몸이 주위의 색과 비슷하게
변하는 것
* 생태계 : 어떤 지역에 살고 있는 모든 생물과 그 지역 내의 환경을 포함한 전체를 말함.
* 적응 : 일정한 조건이나 환경 따위에 맞추어 응하거나 알맞게 됨.
* 천적 : 잡아먹는 동물을 잡아먹히는 동물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플라나리아 : 길고 납작하며 좌우 대칭형임. 머리 모양은 세모이고, 꼬리 쪽은 둥근 모양.
* 항생제 : 다른 미생물이 자라는 것을 선택적으로 억제하거나 죽이는 약제
* 해캄 : 가늘고 긴 머리카락 모양으로 녹색을 띠며, 주로 고여 있는 물속에서 서로 한 곳에 뭉쳐
서 삶.
* 휴면 : 동식물이 활동을 활발하게 하지 않거나 발육을 정지하는 일
'5학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5학년 1학기 사회 용어정리 (0) | 2012.02.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