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6학년 1학기 과학 용어정리

현희맘 2012. 2. 29. 18:40

 6학년 1학기 과학 단원별 용어정리입니다.

 

 

 

 

 

 □ 1단원 빛

 

 * 간이 사진기 : 간단하고 쉽게 만드는 사진기

 * 광원 (光 : 빛 광, 源 : 근원 원) :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

   <예> 태양, 전등, 형광등, 네온사인, 모니터 등

 * 굴절 : 빛이나 소리가 성질이 다른 물질(매질)로 들어 갈 때

   경계면에서 그 진행 방향이 꺾이는 현상

 * 굴절각 (屈 : 굽은 굴, 折 : 꺾을 절, 角 : 뿔 각) : 두 빛이 굴절되어 나올 때 수직인 선(법선)과

   이루는 각도

 * 근시 (近 : 가까울 근, 視 : 볼 시) : 가까운 물체는 잘 보이나 멀리 있는 것은 잘 보지 못하는 시력

 * 기름종이 : 기름을 묻혀 물에 잘 젖지 않게 만든 종이로 반투명함.

 * 레이저 : 어떤 물질의 알갱이들을 세게 운동시켜 빛을 내게 하고 그 빛의 진동을 한 줄기로 뭉쳐

    서 강력하게 내쏘는 빛

 * 렌즈 : 물체로부터 오는 빛을 모으거나 분산하기 위하여 수정이나 유리를 갈아서 만든 투명한

   물체

 * 반사 (反 : 반대 반, 射 : 쏠 사) : 직진하던 빛이 물체의 표면에 부딪쳐 방향을 반대로 바꾸는

   현상

 * 상 (像 : 형상 상) : 렌즈나 거울을 통하여 표면에 생긴 물체의 모습

 * 어둠상자 : 빛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검은색으로 만든 상자

 * 원시 (遠 : 멀 원, 視 : 볼 시) : 가까이 있는 물체를 잘 볼 수 없는 눈

 * 입사각 (入 : 들 입, 射 : 쏠 사, 角 : 뿔 각) : 빛이 다른 물질로 진행할 때의 물질 면에 수직인 선

   (법선)과 이루는 각도

 * 잠망경 (潛 : 잠길 잠, 望 : 바랄 망, 鏡 : 거울 경) : 물체를 직접 볼 수 없는 잠수함 등에 쓰는 반

   사식 망원경

 * 직진 (直 : 곧을 직, 進 : 나아갈 진) : 빛의 성질 중 하나로 빛이 곧게 나아감.

 * 필라멘트 : 백열전구에서 빛을 내는 곳으로 텅스텐이라는 금속으로 실처럼 가는 선으로 되어

   있음. 이곳에서 전류가 흐르면 열과 빛이 남.

 

 

 

 □ 2단원 산과 염기

 

 * 단백질 : 동물의 살과 근육을 이루는 필수 성분으로 달걀, 두부 등에 많이 들어있음.

 * 대리석 :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석회암이란 암석이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서 변한 암석, 색깔이

   곱고 잘 깨지지 않아 건물을 만들거나 장식할 때 사용함.

 * 분류 (分 : 나눌 분, 類 : 무리 류) : 사물을 공통된 성질에 따라 종류별로 나누는 것

 * 시약병 : 실험이 필요한 약품을 넣어 보관하는 유리로 만든 병

 * 식초 : 신맛이 나는 대표적인 음식으로 곡물이나 과일 등을 발효시켜 만듦. 식초에는 아세트산

   이라는 산성을 나타내는 성분이 있으며, 이 성분 때문에 신맛이 남.

 * 용액 (溶 : 질펀히 흐를 용, 液 : 진 액) :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고르게 녹아 있는 액체

 * 유리 세정제 : 유리에 묻은 이물질을 닦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염기성 용액인 수산화나트륨 성

    분이 들어있음.

 * 이온 음료 : 체액과 비슷한 농도로 만든 음료수로 마시면 몸 속 흡수가 빠름.

 * 점성 : 끈적거리는 성질

 * 젖산 : 우유가 산화되어 생기는 산성 물질의 일종. 김치가 신 이유가 바로 이 젖산 때문임.

 * 제산제 (制 : 절제할 제, 酸 : 실 산, 劑 : 약지을 제) : 탈이 난 위나 장에 쓰는 약으로 위산의 분

   비를 억제함.

 * 중성 : 산성과 염기성의 중간에 있는 물질의 상태

 * 지시약 : 용액의 성질을 알아내기 위해 사용하는 것 <예> 리트머스 종이, 페놀프탈레인 용액

 * 탄산음료 : 이산화탄소를 함유하는 톡 쏘는 맛을 내는 청량음료로 사이다, 콜라, 소다수 등이

   포함됨.

 * 탄산칼슘 : 대리석과 달걀껍데기의 주성분으로 산성 용액과 만나면 녹으며 기포가 발생하는

   성질이 있음. 이때 발생하는 기포는 이산화탄소임.

 * 토양 (土 : 흙 토, 壤 : 흙덩이 양) : 식물에 영양을 공급하여 자라게 할 수 있는 흙

 * 페놀프탈레인 용액 : 흰색 가루 물질인 페놀프탈레인을 에틸알코올에 녹여 만든 것으로 무색이

   지만 염기성 용액에서 붉은색으로 변하고, 산성 용액에서는 색깔 변화가 없음.

 

 

 

 □ 3단원 계절의 변화

 

 * 가설 (假 : 거짓 가, 設 : 말씀 설) : 진짜 이론이 아닌 어떤 실험에 대해 예상하는 것

 * 경도 : 그리니치 영국의 천문대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지구를 나눈 것으로, '동경 ○˚'는

   0˚를 중심으로 동쪽으로 나눈 정도를 말함.

 * 극지방 : 지구본에서 맨 위쪽과 아래쪽을 극지방이라고 하고 남극과 북극이 있음.

 * 기온 : 공기의 온도, 온도계로 측정함.

 * 기울기 : 기울어진 정도

 * 단풍 : 기후 변화로 식물의 잎이 붉은 빛이나 누런빛으로 변하는 현상. 햇빛이 비치는 양에 따른

   색소의 변화로 생김.

 * 사계 (四 : 넉 사, 季 : 끝 계) :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계절을 사계라고 부름.

 * 월평균 기온 : 1개월 동안 매일 기온을 측정하여 더한 후 일 수로 나눈 것으로 섭씨(℃) 온도로

   나타냄.

 * 위도 (緯 : 씨줄 위, 度 : 법도 도) : 지구 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축 중에서 가로로 된 것

 * 자전축 (自 : 스스로 자, 轉 : 구를 전, 軸 : 굴대 축) : 지구가 자전할 때 중심이 되는 축

 * 장구 핀 : 실험 모형에서 지표면의 사람을 뜻하는 물체로 핀을 꽂아 두고 관측자라고 생각하게

   됨.

 * 적도 지방 : 지구본에서 지름 쪽에 있는 지방으로 위도가 0인 곳

 * 절기 (節 : 마디 절, 氣 : 기운 기) : 태양이 지나는 길을 24등분하여 이 점에 이르렀을 때 붙인

   이름

 * 태양 고도 측정기 : 그림자의 길이로 태양의 고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구

 * 태양의 고도 (高 : 높을 고, 度 : 법도 도) : 태양이 지표면과 이루는 각

 

 

 

 □ 4단원 생태계와 환경

 

 * 리필제품 : 다 쓴 용기에 다시 채워 사용할 수 있도록 안의 내용물만 간단하게 포장한 물품

 * 멸종 (滅 : 멸망할 멸, 種 : 씨 종) : 지구상에서 또는 어느 지역에서 생물이 모두 죽어서 없어지

   는 것

 * 복원 (復 : 회복할 복, 原 : 근원 원) : 원래대로 회복함.

 * 분해자 (分 ; 나눌 분, 解 : 풀 해, 者 : 놈 자) : 죽은 생산자와 소비자를 분해하여 양분을 얻는

   생물을 말하며 균류, 세균과 같은 생물이 포함됨.

 * 생산자 (生 : 날 생, 産 : 낳을 산, 者 : 놈 자) : 식물, 조류와 같이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스스

   로 양분을 만드는 생물

 * 생태 (生 : 날 생, 態 : 모양 태)  : 생물이 살아가는 모양이나 형태

 * 소비자 (消 : 사라질 소, 費 : 쓸 비, 者 : 놈 자) : 생산자를 먹이로 하여 살아가는 생물

 * 열대림 : 적도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상록 활엽수 위주의 대 밀림

 * 적응 (適 : 맞을 적, 應 : 응할 응) : 생물이 환경에 맞추어 살아가는 현상을 말함.

 * 적조 (赤 : 붉을 적, 潮 : 조수 조)  : 바다나 호수에 질소, 인 등이 섞인 물이 흘러들어 이것을

   는 플랑크톤의 번식이 급격히 늘어나 물의 색이 붉은 빛을 띠는 현상

 * 정수 : 물리적 · 화학적 과정을 거쳐 물을 깨끗하게 거르는 것

 * 정화 (淨 : 깨끗할 정, 化 : 될 화) : 더러움을 털어버리고 깨끗하게 하는 것

 * 증산 작용 (蒸 : 찔 증, 散 : 흩을 산, 作 : 지을 작, 用 :쓸 용) : 앞의 뒷면에 있는 기공을 통해 물

   이 기체 상태로 식물체 밖으로 빠져 나가는 작용

 * 평형 (平 : 평평할 평, 衡 : 저울대 형) : 사물이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안정되어 있는 상태

 * 포식자 (捕 : 잡을 포, 食 : 밥 식, 者 : 놈 자) : 피식자와 반대되는 뜻으로 먹이 사슬에서 잡아먹

   는 쪽의 동물을 뜻함.

 * 환경 보전 : 자연환경을 오염시키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깨끗하고 쾌적하게 유지하는 것

 * 환경 복원 (環 : 고리 환, 境 : 지경 경, 復 : 돌아올 복, 原 : 근원 원) : 훼손된 환경을 원래대로

   돌리는 것

 * 환경오염 (環 : 고리 환, 境 : 지경 경, 汚 : 더러울 오, 染 : 물들일 염) :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

   하는 대기 · 수질 · 토양 오염 및 소음 · 진동 등으로 자연환경이나 생활환경이 손상되는 현상

 * 황산 : 냄새가 없는 무색투명한 액체로, 강한 산성을 띠며 대부분의 금속을 녹임.

 * 훼손 : 망가지거나 헐어서 못 쓰게 함.

 * 희석 (稀 : 드물 희, 釋 : 풀 석) : 용액의 농도를 묽게 만드는 것으로 보통 물과 섞어 묽은 용액

   을 만듦.

 

 

 

 □ 5단원 자기장

 

 * 나침반 (羅 : 그물 나, 針 : 바늘 침, 盤 : 소반 반) : 항공, 항해 등에 쓰는 지리적인 방향을 알려

   주는 기구. 자석의 바늘이 남북을 가리키는 특성을 이용하여 만듦.

 * 에나멜선 : 구리선에 에나멜페인트를 칠해 얇은 막이 생기게 한 것

 * 영구 자석  : 한 번 자석의 성질을 가지게 되면 항상 자석의 성질을 가지는 것

 * 요인 (要 : 요긴할 요, 因 : 인할 인) :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것, 조건이 되는 요소

 * 인력 (引 : 당길 인, 力 : 힘 력) : 자석끼리 서로 끌어당기는 힘. 다른 극끼리 인력이 생김. 즉 N극

   에서 나와 S극으로 들어감.

 * 자기장 (磁 : 자석 자, 氣 : 기운 기, 場 : 마당 장) : 자석의 힘이 미치는 공간. 자기장은 자석의

  N극에서 나와 S극으로 들어감.

 * 자석 (磁 : 자석 자, 石 : 돌 석) : 철을 끌어당기는 자기를 띤 물체, 천연적으로는 자철석이 있고,

  강철을 인공적으로 자기화하여 만들기도 함. 외부 자기장이 없이도 자기를 띠고 있는 영구 자석

  과 외부 자기장에 의하여 자기를 띠게 되는 일시 자석이 있음.

 * 자기장의 방향 : 나침반을 놓았을 때, 나침반 바늘이 N극이 가리키는 방향

 * 전류 (電 : 번개 전, 流 : 흐를 류) : 전기의 힘이 이동하는 현상으로 플러스(+)극에서 마이너스(-)

   극으로 흐름

 * 직렬연결 : 전류가 하나의 길로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한 회로를 말함.

 * 척력 (斥 : 물리칠 척, 力 : 힘 력) : 자석끼리 서로 밀어내는 힘. 같은 극끼리 척력이 생김.

 * 피복 (被 : 입을 피, 覆 : 뒤집힐 복) :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로 겉을 덮어 씌움.

 

 

 

 

 

 

 

 

 

 

 

 

 

 

 

 

 

 

 

 

 

 

'6학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6학년 1학기 사회 용어정리  (0) 2012.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