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1-2 바생 요점정리] 3단원 함께하는 한가위

현희맘 2011. 10. 15. 01:12

3. 함께하는 한가위

 

1. 인사를 하면 좋은 점

① 사람들끼리 사이가 좋아집니다.

② 인사를 하는 사람의 마음이 흐뭇해지고, 인사를

    받는 사람도 기분이 좋아집니다.

③ 인사를 잘하면 예의 바르다고 칭찬을 받습니다.

 

2. 상대에 따라 바르게 인사하는 방법

① 할아버지, 할머니를 찾아뵈었을 때 : 예의 바르게 큰절을 합니다.

② 친척 어른을 만났을 때 : 고개를 숙여 공손하게 인사를 합니다.

③ 친구들이나 사촌 형제를 만났을 때 : 손을 흔들며 반갑게 인사를 합니다.

④ 이웃 어른을 만났을 때 : 내가 먼저 공손하게 인사를 합니다.

 

3. 때와 장소에 알맞은 인사말

① 도움을 받았을 때 : "감사합니다."

② 실수로 잘못을 했을 때 : "죄송합니다."

③ 잠자리에 들기 전에 : "안녕히 주무세요."

④ 어른을 만났을 때 : "안녕하세요?"

⑤ 친구에게 잘못한 일을 사과할 때 : "미안해."

⑥ 친구가 상을 받았을 때 : "축하해."

친구를 만났을 때 : "안녕?"

옆집 아주머니께서 음식을 나누어 주실 때 : "맛있게 잘 먹겠습니다."

 

4. 바른 자세로 인사하기

① 목례 (눈인사)

 - 바른 자세로 곧게 서서 미소 짓는 얼굴로 고개를 약간 (15도 정도) 숙입니다.

 - 친한 사람이나 한 번 만난 사람을 또 만났을 경우에 합니다.

 - 식당, 복도, 화장실과 같은 좁은 장소에서 만났을 때 합니다.

② 경례 (보통 인사)

 - 허리를 굽혔다가(45도 정도) 펴면서 알맞은 인사말을 합니다.

 - 웃어른을 만났을 때 합니다.

 - 예의를 갖추어서 감사한 마음을 표현할 때 합니다.

 

5. 바르게 인사하는 방법

① 상대에 따라 알맞은 인사를 합니다.

② 때와 장소에 따라 알맞은 인사말을 합니다.

③ 웃으면서 밝은 얼굴로 인사를 합니다.

④ 머뭇거리지 않고 분명한 목소리로 인사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