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 정책 뉴스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스마트 교육 본격 추진
정보 통신 윤리·인성 교육도 강화
교과부, 디지털교과서, 온라인 평가 등
추진전략 실행계획 발표
오는 2015년 이후에는 학교에서 아이들이 디지털 교과서로 수업하고, 온라인으로 시험 보는 모습
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2일 스마트 교육 추진 전략 실행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이 계획안은 스마트 교육시 인터넷 과다 사용 등의 역기능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 정보통신 윤리 및 인성 교육 등을 강화하는 내용도 포함했습니다.
계획안에 따르면, 2014년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목을 대상으로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시작해, 2015
년에는 고등학교 과목을 그 대상이 확대됩니다. 정부가 구상하는 디지털 교과서는 기존 교과 내용에
다양한 참고 자료와 학습 지원 기능을 추가한 미래형 교과서로, 사진·동영상·애니메이션 등 멀티미디
어 자료와 평가 문항, 사전 등 다양한 학습 참고 자료를 통해 학습자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게 됩
니다. 또한, 일반 PC는 물론 스마트패드·스마트TV 등 다양한 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개발되
어 시간, 장소와 관계없이 개인별 맞춤학습을 유도합니다.
정규 교과에서의 온라인 수업도 활성화됩니다. 우선 2013년부터 천재지변이나 질병 등으로 인해
결석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우선 적용하며, 고등학교의 소수 선택 교과 영역, 중학교의 집중 이수제
대상 학생들에게 점차 확대합니다. 또한, IPTV 활용 지원 체제를 강화해 사교육 수요가 많은 교과 등
에 대한 다양한 방과 후 프로그램도 제공할 예정입니다.
평가도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국가 단위에서 IBT 영어능력 평가 시험을 2013년까지 정착하며,
이를 기반으로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를 인터넷 기반 평가로 단계적으로 전환할 예정입니다.
시·도 단위에서의 온라인 기반 기초 학력 진단 평가를 도입하며, 맞춤형 보정 및 이력 관리 등을 통
해 기초 학력을 체계적으로 예방·관리합니다. 단위학교에서는 온라인 기술을 활용해 수행 평가를
시행합니다.
이밖에 교과부는 교사와 학생들이 정규 수업 시간 외에도 방과 후나 방학 중에도 자유롭게 교육
콘텐츠 확보 및 저작권 관리 등의 제도 정비에도 힘쓸 예정입니다. 또, 스마트 교육의 역기능으로
나타날 수 있는 인터넷 오남용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정보 통신 윤리 교육 등도 강화합니다. 스마트
교육을 위한 교원 역량 강화도 추진되며,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교육 정보 서비스 환경 구축 등도 추진됩니다. 교과부는 이번 실행 계획을 토대로
시·도 교육청과 협의해 각 지역별 실정에 맞는 세부 추진 계획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발췌 : 교육과학기술부 정책 뉴스 (2011. 10. 14 일자)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아이의 특성 알기 (0) | 2011.12.30 |
---|---|
끈기 있는 머리를 키워 준 부모가 성공하는 아이를 만든답니다. (2) | 2011.12.29 |
집에서 하는 한자공부는 이렇게 하세요. (0) | 2011.12.27 |
2-1 교과 연계 도서 목록 (0) | 2011.12.26 |
[종합] 재미있게 일기쓰기 (0) | 2011.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