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보

우리 아이 100점을 맞으려면 어떻게 ~~~

현희맘 2011. 12. 3. 03:41

 

95점과 100점 받는 아이 무엇이 다를까?

 

 

 

평소에 시험 점수에 욕심을 내는 아이들이 많이 있고 100점을

표로 시험공부를 열심히 하지만 100점을 받는 아이는 많지

다. 그렇다면 아깝게 1~2문제 틀리는 아이는 왜 그럴까? 

95점과 100점 받는 아이는 무엇이 다를까?

 

 

 1) 국어 과목은 교과서를 꼼꼼히 살피는 습관이 100점과  

 95점을 가른다.

최근 국어 시험은 지문이 많고 장르가 4~5개 지문을 모아 출되기때문에 지문을 정확하게 이

해하고 핵심을 파악해야 하문제들이 많다. 마음의 여유가 없다면 집중력이 떨어지고 문제도

틀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국어 문제 같은 경우 한 순간의 판단 실수로 문제를 잘못 이해 하거나 착각 할 수 도 있고, 알

있는 배경 지식의 깊이와도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경주 기행문이 있을 때 신라 역사적인 배

지식이 있고 이를 체험 학습으로 해 본 학생은 단순히 교과서나 책을 이해하고 암기 한 학생

현저한 차이가 들어난다.

 

 

  2) 사회 과목은 도표, 설명하는 말 주머니를 놓친다거나 교과서 귀퉁이의 도표나 도식을

 놓치는 경우도 많다.

시험에 필요한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학습 시간을 조절 할 줄 알아야 한다.

간단하게 예습하고 수업 직후에 복습하는 습관은 기억력을 80%이상 높여 주기 때문에 수업이 끝

후에 바로 교과서를 덮지 말고 쉬는 시간 2~3분 동안 복습을 하는 것은 100점을 향한 지름길이

라고 생각된다.

 

 

  3) 수학 과목은 쉬운 문제라도 완벽하게 복습해야 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대부분 한 두 문제 틀린 아이들은 "알고 있는데 계산이 틀렸다"라고 얘기한다. 사칙 연산에서

로 100점을 놓치는 경우가 있다. 계산속도가 주어진 시간에 충분한지 마음의 여유를 가지

시험에 임해야 하겠다. 급하게 서둘다 계산이 틀릴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100점 받는 아이는 어려운 문제만 풀지 않는다. 틀린 문제를 꼭 확인하고 다시 한 번 공부

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자주 오류를 범하는 문제를 정확히 파악해서 보충하는 것이다.

머리는 좋은데 실수를 하는 경우는 쉽게 풀리는 문제는 충분히 연습하지 않기 때문에 그런 경우

가 많다. 계산연습도 충분히 해 놓는 것이 좋을 것이다.

 

 

  4) 마지막으로 시험성적에 부담을 주지 말아야 한다.

부모님이 성적에 대한 압박감을 준다면 시험에 불안이 생기고 아는 문제도 제대로 풀지 못하는

우가 있다. 시험 보는 날 "열심히 노력한 만큼 실수 하지 말고 정성 들여 문제를 풀면 잘 할 거야"

고 격려해 주는 부모님의 자세도 중요 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