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방학이 단순히 학기와 학기를 연결하는 다리라면 겨울방학
은 다음 학년으로 이어지는 계단이라고 할 수 있다. 학년 간에는 교
육수준의 격차가 커지기 때문에 겨울방학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
라 다음 학년 성적이 결정되기도 한다. 따라서 초등생 우리 아이가
다음 학년을 자신 있게 맞이할 수 있도록 이번 겨울방학을 알차게
보내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1. 규칙적인 생활습관 유지
초등학생들에게 방학은 새로운 학년이나 학기를 맞이하기 위한
준비기간 이라는 개념보다는 규칙적으로 짜여 있는 학교생활에서
벗어난다는 해방감이 더 크다. 이러한 마음가짐은 자칫하면 불규칙
적이고 무계획한 생활로 빠져들 수 있으므로 평소 잘 지켜오던 공부습관도 잃어버리기 쉽다. 따라
서 계획표를 작성하고 계획표를 바탕으로 규칙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계획표를 짤 때는 아래와 같은 점에 유의한다.
* 계획표를 짤 때 유의점*
- 자기 능력에 맞춰 욕심내지 말고 실천할 수 있을 만큼만!
- 시간 보다 해야 할 분량을 중심으로!
- 방학 중간에는 꼭 점검을 해보고 잘 지켜지지 않을 때는 다시!
2. 선행학습은 주요과목을 중심으로
겨울방학이 여름방학보다 길기는 하지만 모든 과목을 골고루 공부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방학 동안 공부해야할 과목을 정해놓고 중요도에 따라 공부순서를 정하는 것이 좋다. 이때 선행
학습할 과목은 주요과목을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회, 과학과 같은 암기과목의
경우 평소 학교수업을 들으면서 준비를 해도 충분하기 때문에 주요과목을 중심으로 공부하는 것
을 추천한다. 예를 들어 수학과 영어에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국어, 사회, 과학 과목은 교과
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정도로 시간을 배분한다. 또한 선행학습은 집중력이 좋은 오전에 공부
하는 것이 좋다.
3. 부족한 과목을 보충하는 절호의 기회
많은 학생들이 방학 때는 선행학습을 위주로 공부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예습도 중요하지만 수
학이나 과학 같은 과목의 경우 단원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전 학년에서 배웠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할 경우 뒷부분 단원도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선행학습을 진행하면서 지난 학기 진
도강좌 등을 병행하여 보충학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습은 예습보다 적은 시간이 소요
되지만 학습효과는 매우 좋다.
4. 꾸준한 책읽기와 글쓰기 연습을
서술형 문제가 초등학교 시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책읽기와 글쓰기가 어느 때보다 강조
되는 시기이다. 방학 중에도 일정한 독서량을 유지하여야 하며 글쓰기 연습을 꾸준히 하여야 한다.
책을 읽은 후에는 다양한 독후양식을 이용하여 독후감상문을 꼭 쓰도록 한다. 일상생활에서 접하
게 되는 여러 가지 논제들은 신문이나 책,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5. 다양한 활동으로 폭넓은 지식과 경험 쌓기
방학기간 동안 학습뿐만 아니라 보다 폭넓은 지식과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방학마다 하나의 테
마를 설정해 본다. 예를 들어 이번 방학은 역사를 공부해보는 역사탐구 방학, 이번 방학은 수학에
집중해 보는 수학집중 방학, 이번에는 책읽기, 이번에는 한자 등 한 가지 테마를 꼭 정하여 방학기
간에 집중적으로 탐구해 보는 시간을 가져 보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초등학교 12번의 방학동안 폭
넓은 지식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겨울방학은 2월의 봄방학까지 합치면 거의 두 달 가량 된다고 볼 수 있다. 이 기간에 학생들은 산만
해지거나 해이해지기 쉬우므로 적절한 시간 관리로 아이들의 방학을 헛되이 보내지 않도록 하는 것
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하겠다.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쁜 읽기 습관이 오답을 만든다. (0) | 2011.12.17 |
---|---|
예비 초등학생 입학 준비 하기 (0) | 2011.12.16 |
겨울 방학 계획 세우기 노하우 (0) | 2011.12.10 |
초등수학 서술형 내신대비는 이렇게 하세요. (0) | 2011.12.09 |
효과적인 공부 방법 3단계 (0) | 2011.12.08 |